2018. 11.12 – 16
로마서 14장에 나오는 음식과 날자의 문제에서 바울은 ‘연약한’ 믿음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의 견해를 잘못된 것으로 보았습니다. 바울은 채식가가 아니었고 우상의 고기를 먹지 못할 이유도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시고, 우상은 아무것도 아니며, 이교의 제사가 고기를 더럽히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거리낌 없이 오히려 감사하며 고기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같은 장 후반부(13-23절)와 고린도전서 8장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믿음이 ‘강한’ 그리스도인은 믿음이 ‘연약한’ 그리스도인 앞에서 일부러 고기를 삼가는 것이 옳습니다. 행여 연약한 형제를 양심에 거리끼는 일로 유도하여 죄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렇듯 그리스도인의 사랑은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제한합니다. 성경이 성결한 양심을 매우 중시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양심이란 무오하지 않으며 교육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양심에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과는 별도로, 우리는 절대로 다른 사람의 양심을 침해해서는 안됩니다. 설령 다른 사람의 양심이 잘못되어 있을 때라도 마찬가지입니다(물론 우상 앞에 드린 고기를 먹는다는 것과 같은 사소한 문제들일 때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음식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업을 무너지게 하지 말라 만물이 다 깨끗하되 거리낌으로 먹는 사람에게는 악한 것이라 고기도 먹지 아니하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고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롬14:19-21)